-
목차
"취득세도 카드로 낼 수 있어요?"
집을 사거나 차량을 구입하면서 이런 질문 한 번쯤 하셨을 거예요.
세금은 보통 계좌이체나 현금 납부만 되는 줄 알았던 분들 많으시죠?요즘은 ‘취득세 카드납부’도 가능하고, 무이자 할부까지 되는 카드사도 있어서
현금 없이도 부담 없이 세금 납부가 가능해졌답니다.그럼 지금부터 취득세를 카드로 납부하는 방법과 주의사항, 꿀팁까지
하나하나 쉽게 알려드릴게요1. 카드로 취득세 납부,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단, 몇 가지 꼭 기억해 주세요:- 반드시 본인 명의 카드로만 결제 가능해요.
- 지방세는 카드 수수료가 없어요.
→ 취득세, 자동차세, 주민세 같은 지방세는 카드 수수료가 붙지 않아요.
→ 반면, 국세(소득세, 종부세 등)는 수수료가 붙어요. - 일부 카드사는 무이자 할부도 제공해요.
대부분 등기업무는 법무사를 통해 위임하게 될 텐데요.
미리 법무사님께 취득세는 개별로 카드 납부 예정이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추후에 전자납부번호를 알려주거나 위택스에서 납부내역을 확인하라고 하실거예요.
2. 어디서 카드로 납부할 수 있나요?
온라인 또는 전화, 앱을 통해 쉽게 납부할 수 있어요.
방법 설명 이택스(e-tax) 부동산 소재지가 서울이라면 사용하는 사이트. 전자납부번호 입력후 납부 가능 위택스 (wetax) 부동산 소재지가 서울외 지역이면 사용하는 사이트. 전자납부번호 입력후 납부 가능 스마트 위택스 앱 모바일에서도 납부 가능. 요즘은 앱이 더 편해요 ARS 1899-3888 음성 안내 따라 카드 정보 입력하면 납부 끝! 은행 ATM 일부 은행 기기에서는 납부 가능하지만 기기 수수료(약 900원)가 붙을 수 있어요 3. 무이자 할부 가능한 카드사는?
아래 카드사들은 2025년 기준, 지방세(취득세 포함) 납부 시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고 있어요:- 삼성카드 4월1일 ~ 4월 30일
- 신한카드 4월1일 ~ 4월 30일
- 하나카드 4월1일 ~ 4월 30일
- 현대카드 4월1일 ~ 4월30일
- 비씨카드 4월1일 ~ 6월30일
- 광주카드 1월1일 ~ 12월31일
- 농협카드 1월1일 ~ 12월 31일
👉 단, 카드사마다 행사 기간과 조건이 다르니까, 납부 전 꼭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아래 공지사항에서 확인해 주세요.
https://www.giro.or.kr/girohelp/event/qryEventList.do
인터넷지로
홈 지로도우미 카드 무이자할부 안내 카드 무이자할부 안내
www.giro.or.kr
4. 포인트로도 납부할 수 있나요?
네,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납부가 가능해요!
13개 주요 카드사가 포인트 납부를 지원하고 있어요.예)
KB국민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등 → 포인트로 일부 또는 전액 납부 가능하지만, 항공 마일리지나 일부 혜택 포인트는 사용 불가할 수도 있으니,
포인트 종류도 미리 확인해 주세요.5. 카드납부의 장점은 뭔가요?
👍 현금 없어도 납부 가능
→ 목돈 없이도 부담 없이 낼 수 있어요.👍 무이자 할부로 분할 납부 가능
→ 특히 아파트나 차량 취득 시 유용!👍 포인트 사용 or 혜택 적립 가능
→ 세금 내고 혜택도 챙겨가세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납부
→ 시간 절약! 줄 설 필요 없어요.꼭 기억할 주의사항
- 타인 명의 카드로는 납부 불가
- 무이자 할부 가능한지, 포인트 사용가능한지 카드사별로 꼭 확인
- 납부 기한은 60일! 지나면 가산세 붙어요
- 일부 지자체는 카드납부 방법이 다를 수 있어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필증 분실! 대처법과 재발급 없이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0) 2025.04.27 근저당 뜻, 설정 과정과 말소 방법까지 완벽 정리 (0) 2025.04.26 주택구입 필요자금, 어디까지 준비해야 할까? 현실적 계산법 + 항목별 분석 + 실전 사례까지 완전정복! (0) 2025.04.23 아파트 매매 시 법무사 비용, 얼마가 적정선일까? (0) 2025.04.23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표, 매매·임대차 수수료는 얼마? (0)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