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돈을 똑똑하게 관리하는 법, 투자 전략, 경제 트렌드 등 현명한 재테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28.

    by. *:P*※▒

    목차

      아파트를 매수하거나 이미 소유하고 있다면,

      '시가표준액'이라는 단어를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이 단어는 단순한 부동산 가격이 아니라,

      재산세,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같은 세금 부담을 직접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2025년, 정부는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점진적으로 조정하면서,

      시가표준액에도 미세한 변동이 반영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파트 시가표준액'을 정확히 조회하는 방법, 주의사항,

      그리고 실전 활용법까지 빠짐없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썸네일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

       

      아파트 시가표준액이란 무엇인가요?

       

      먼저 개념부터 명확히 해야 합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이란, 국가나 지자체가 정한 과세 표준 가격입니다.

       

      "내 집이 얼마짜리냐?"를 따지는 실거래가나,

      "정부 발표 공시가격"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은

      세금을 부과하거나 국민주택채권 매입 금액을 산정할 때만

      사용되는 공식 가격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이 활용되는 주요 분야

      • 취득세: 부동산 거래 시 부과
      • 재산세: 주택 보유에 따른 세금
      • 종합부동산세: 고가 주택 다주택자 대상
      • 국민주택채권 매입 기준: 셀프등기, 부동산 등기 시 필요

       

      특히 아파트 시가표준액은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되며,
      3~4월경 공시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위택스(WETAX)로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하는 방법 (지방 거주자)

       

      지방자치단체 관할 지역에 아파트가 있다면, "위택스"를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조회 절차

       

      1.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
      2. 메뉴에서 '지방세정보' → '정보공개' → '시가표준액 조회' 클릭
      3. '공동주택' 선택 (아파트는 공동주택에 해당)
      4. 주소 입력: 관할 시/군/구, 도로명주소 입력
      5. 기준년도 '2025' 선택
      6. '조회' 버튼 클릭 → 시가표준액 확인

       

      ※ 조회 시 번지수나 동·호수 입력 실수가 많습니다.
      주소가 정확히 입력되지 않으면 '조회 결과 없음'이 뜨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서울 거주자는 서울이택스(ETAX)로 조회해야 한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아파트라면,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를 위해

      위택스가 아닌 서울이택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서울이택스 조회 방법

      1. [서울이택스(https://etax.seoul.go.kr)] 접속
      2. 'ETAX 이용안내' → '조회/발급' →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회'
      3. 주소 및 건물 정보 입력
      4. 기준년도 선택 후 결과 확인

       

      서울시는 따로 시스템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로 조회해야 합니다.

       

       

       

      실제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 과정 따라하기

      사례:
      2025년 5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한 '수원XX아파트' 101동 202호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하려고 합니다.

       

      조회 절차:

      1.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
      2. '지방세정보' → '정보공개' → '시가표준액 조회' 클릭
      3. 건축물 구분에서 '공동주택' 선택
      4. 관할자치단체: '경기도 → 수원시 팔달구' 선택
      5. 기준년도: '2025' 선택
      6. 본번지, 부번지, 동/호수 입력
      7. '검색' 클릭 → 시가표준액 3억 2천만 원(2025년 기준) 조회 완료

       

      Tip:
      아파트 시가표준액 검색이 안 될 경우,

      주소의 도로명과 동호수를 정확히 다시 입력하거나 '본번지'만 입력해 기본 조회를 시도하세요.

       

       

       

      아파트 시가표준액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Q1. 아파트 시가표준액과 공시가격은 어떻게 다른가요?

      •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하는 기준가격입니다.
      • 시가표준액은 지방자치단체가 세금 부과를 위해 별도로 산정한 가격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공시가격은 '국가 기준', 시가표준액은 '세금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Q2. 아파트 시가표준액은 매년 변동되나요?

       

      네.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공시 및 조정 과정을 통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상황에 따라 상승/하락이 있을 수 있으니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Q3. 아파트 동·호수에 따라 시가표준액이 다를 수 있나요?

       

      네, 다를 수 있습니다.
      같은 단지 내라도 층수, 방향, 면적, 위치에 따라 시가표준액은 약간씩 차이가 납니다.
      특히 고층과 저층, 남향과 북향 차이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 이의신청 방법 (내 아파트 시가표준액이 너무 높다면?)

       

      만약 공시된 아파트 시가표준액이 부당하게 높다고 판단된다면,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 절차:

      1. 공시된 이후, 통상 30일 이내에 신청 가능
      2. 해당 관할 자치단체 세무부서에 이의신청서 제출
      3. 가격 산정근거, 사진자료, 시세자료 등을 함께 제출
      4. 심사 후 조정 결과 통보

       

      주의사항:
      단순히 "비싸다"는 이유만으로는 조정이 어렵습니다.

      객관적 자료를 준비해야 승산이 있습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에 따른 재산세와 취득세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예시:
      수원XX아파트, 시가표준액 3억 2천만 원 기준

      • 재산세 계산
        • 재산세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
        • 세율(0.1% 가정) 적용 → 3억 2천만 원 × 0.001 = 32만 원

       

      • 취득세 계산
        • 취득가액이 시가표준액보다 높은 경우, 취득가액 기준
        • 취득세율(주택 1주택자 기준 1.1% 적용)
        • 3억 2천만 원 × 0.011 = 352만 원

       

      ✅ 취득세는 상황에 따라 1주택/다주택자 여부, 주택 가격 등에 따라 달라지니 꼼꼼히 계산해야 합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 생활의 필수 체크포인트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는 더 이상 전문가만 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일반 주택 소유자도, 예비 부동산 투자자도 반드시 매년 확인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시가표준액 하나로

      • 내가 내야 할 재산세가 정해지고,
      • 부동산 거래 시 취득세가 결정되며,
      • 대출 한도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2025년은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에 따라 아파트 시가표준액 변동이 클 수 있는 해입니다.


      지금 당장, 위택스 또는 서울이택스를 통해 내 아파트 시가표준액을 확인하고,
      필요하면 이의신청까지 준비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아는 만큼 돈이 됩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 꼭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