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부동산 거래할 때, ‘수수료는 얼마지?’ 하고 걱정되신 적 있으시죠?
중개사에게 수수료로 얼마를 내야 하는지정확히 알고 있으면,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기준으로 매매, 전세, 월세 등
상황별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표를 쉽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복잡한 계산 없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와 함께 설명드릴게요.
끝까지 읽으시면 거래 전에 꼭 필요한 정보만 콕콕 알 수 있어요!1. 주택을 살 때(매매) 수수료는 얼마나 낼까?
주택을 매매할 때는 거래 금액에 따라 수수료 요율이 달라져요.
거래 금액 수수료율(최대) 수수료 한도 5천만 원 미만 0.6% 25만 원 5천만~2억 원 0.5% 80만 원 2억~9억 원 0.4% 제한 없음 9억~12억 원 0.5% 제한 없음 12억~15억 원 0.6% 제한 없음 15억 이상 0.7% 제한 없음 예시)
7억짜리 아파트를 산다면,
👉 7억 × 0.004 = 280만 원 (최대)이건 상한 요율이고, 중개사와 협의해서 더 낮게도 가능하답니다.
2. 전세나 월세 계약할 땐 수수료 얼마?
전세/월세도 마찬가지로 거래 금액에 따라 달라져요.
거래 금액 수수료율(최대) 수수료 한도 5천만 원 미만 0.5% 20만 원 5천만~1억 원 0.4% 30만 원 1억~6억 원 0.3% 제한 없음 6억~12억 원 0.4% 제한 없음 12억~15억 원 0.5% 제한 없음 15억 이상 0.6% 제한 없음 월세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 계산식: 보증금 + (월세 × 100)예시)
보증금 1,000만 + 월세 50만 원
👉 1,000만 + (50만 × 100) = 6,000만 원
→ 이 기준으로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거예요!3. 오피스텔은 수수료가 다를까?
오피스텔은 두 가지로 나뉘어요.
- 전용면적 85㎡ 이하이고 부엌·화장실·욕실이 모두 갖춰진 경우
- 매매: 0.5%
- 임대차: 0.4%
-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 매매/임대차: 0.9%
예시)
3억짜리 오피스텔을 살 경우
👉 3억 × 0.005 = 150만 원 (전용 85㎡ 이하일 경우)4. 상가나 토지는 얼마?
상가, 토지, 창고 등 주택 외 부동산은 모두 똑같아요.
- 매매, 전세, 월세 전부 포함
- 상한 요율: 0.9%
예시)
10억짜리 상가를 사면
👉 10억 × 0.009 = 900만 원5. 중개수수료, 꼭 다 내야 하나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 중개수수료는 무조건 정해진 금액을 낼 필요는 없어요.
- 법적으로 ‘상한 요율’만 정해져 있고
- 실제 수수료는 중개사와 협의해서 조정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계약 전,
"중개수수료는 얼마나 되나요?"
"요율 좀 더 낮출 수 있을까요?"
이렇게 꼭 물어보세요.수수료율은 협의 가능
✔️ 수수료율은 ‘최대치’일 뿐! 협의가 가능해요.
✔️ 계약 전에 정확한 계산법과 요율표 확인은 필수!
✔️ ‘합리적인 비용’으로 부동산 거래하세요!'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구입 필요자금, 어디까지 준비해야 할까? 현실적 계산법 + 항목별 분석 + 실전 사례까지 완전정복! (0) 2025.04.23 아파트 매매 시 법무사 비용, 얼마가 적정선일까? (0) 2025.04.23 국민·농협·신한·우리·카카오뱅크 이체확인증 발급 방법 총정리 (0) 2025.04.22 부동산 취득세 영수증 발급, 온라인으로 5분 만에 끝! (0) 2025.04.22 부동산 취득세 납부 확인서 발급 방법 (무인 발급 포함) (0) 2025.04.22 - 전용면적 85㎡ 이하이고 부엌·화장실·욕실이 모두 갖춰진 경우